반응형
목차

1. IRP란? 왜 퇴직금은 이 계좌로만 받나요?
IRP(Individual Retirement Pension)는 퇴직금이나 노후자금을 세제혜택 받으면서 모을 수 있는 개인형 연금계좌입니다.
2022년부터는 퇴직 시 IRP 계좌가 반드시 있어야 퇴직금을 받을 수 있게 법으로 정해졌습니다.
구분 | 설명 |
---|---|
IRP 개설 대상 | 1년 이상 근속한 퇴직자 |
수령 방식 | 회사 → 퇴직금 → IRP 계좌로 이전 지급 |
일반 통장 수령 가능? | 원칙상 불가 |
예외 조건 | ① 퇴직금 300만 원 이하 ② 만 55세 이상 퇴직자 |
2. IRP 계좌 개설 방법
은행, 증권사, 보험사 어디서든 IRP 개설 가능합니다.
방법 | 설명 |
---|---|
모바일 개설 | 앱 로그인 → IRP 메뉴 → 신분증 촬영 후 개설 완료 |
방문 개설 | 신분증 지참 → 금융기관 창구 → 신청서 작성 |
대표 금융사 | 신한, 국민, 하나, 우리, 농협, 미래에셋, 삼성증권 등 |
📌 퇴직 후 바로 회사에 IRP 계좌번호를 제출해야 퇴직금 입금 가능!
3. IRP 해지 시 유의할 세금 구조
IRP는 ‘연금용’ 계좌입니다. 그냥 꺼내 쓰면 세금 불이익이 큽니다.
✅ IRP 연금 수령 조건
- 만 55세 이상
- 10년 이상 분할 수령 (연금 형태)
✅ 조건 충족 시
- 퇴직소득세 감면
- 연금소득세 3.3% ~ 5.5% 수준만 부과
❌ 조건 불충족 시
- 기타소득세 16.5% 즉시 부과
- IRP 해지 후 일시 출금 시 불이익 확정
※ 꿀팁: 소득 없는 해에 연금개시하면 세금 부담 최소화!
4. IRP 해지 가능한 경우
해지 사유 | 가능 여부 |
---|---|
55세 이상 연금 개시 | 가능 ✅ |
300만 원 이하 잔고 | 가능 ✅ |
질병, 재해 등 증빙 가능한 긴급 사유 | 가능 ✅ |
퇴직 직후 출금 (무조건 출금) | 불가 ❌ (세금 16.5%) |
해지 시 퇴직소득세 정산은 금융기관이 자동 처리하지만, 연금 요건 미달 시 고세율 적용!
5. IRP 활용 꿀팁
- 퇴직 직후 해지 금지! – 당장 안 써도 두세요
- IRP에 추가 납입 시 연말정산 세액공제 – 최대 700만 원까지 가능
- 연금 개시는 본인이 55세 이후 원하는 시점에 가능
- 퇴직급여 외 자산도 IRP로 통합 가능
결론: IRP 계좌, 무조건 만들되 무턱대고 깨지 마세요!
- ✅ 퇴직금 300만 원 초과 시 IRP 없으면 수령 불가
- ✅ IRP 해지 조건 미충족 시 기타소득세 16.5% 폭탄
- ✅ 연금형 수령만이 세금 최소화 + 세액공제 혜택 누리는 길!
- ✅ IRP는 노후 자산관리의 핵심 도구입니다
퇴직 이후에도 똑똑한 금융 습관이 필요합니다. IRP 잘만 쓰면, 세금도 줄이고 노후도 든든해져요💡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