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목차
실업급여 신청하려면 반드시 필요한 ‘이직확인서’! 요청 방법부터 제출 확인, 고용센터 처리현황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1. 이직확인서란 무엇인가요?
👉 실업급여 신청의 핵심 서류!
이직확인서는 퇴사자의 퇴직 사유, 퇴사일, 고용형태, 평균임금 등을 고용센터에 보고하는 회사 작성용 공식 문서입니다.
이 서류 없이는 실업급여 신청 자체가 불가능해요.
항목 | 내용 |
---|---|
작성 주체 | 퇴사한 회사 (사업주) |
제출 대상 | 관할 고용센터 |
제출 기한 | 근로자 요청일로부터 10일 이내 |
용도 | 실업급여 수급자격 심사용 |
2. 이직확인서 요청 방법
✔ 고용24 웹/앱 또는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요청 가능
✔ 회사에 문자, 전화 등 비공식 방식으로도 요청 가능
📱 고용24 이용 방법
- 고용24 로그인
- [실업급여 신청] 메뉴 클릭
- '이직확인서 미제출' 상태일 경우 → [이직확인서 요청] 버튼 클릭
- 자동으로 사업장에 전자 요청서 메일 발송됨
📌 사업주는 요청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 제출 의무가 있으며, 미제출 시 민원접수 가능합니다.
3. 이직확인서 제출 여부 조회 방법
다음 경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👇
경로 | 확인 방법 |
---|---|
고용보험 토탈서비스 | total.kcomwel.or.kr → 로그인 → 민원신청 → 이직확인서 처리현황 |
고용24 | work.go.kr → 로그인 → 개인서비스 → 실업급여 → 이직확인서 상태 |
📌 조회 결과가 ‘미제출’이면 회사에 재요청하거나 고용센터에 문의!
4. 처리현황 조회 시 용어 정리
상태 | 의미 |
---|---|
미제출 | 회사에서 아직 제출하지 않은 상태 |
접수완료 | 고용센터에 이직확인서가 도달한 상태 |
처리완료 | 수급자격 심사 등록까지 완료 |
반려 | 내용 오류 등으로 고용센터가 되돌린 상태 |
✅ ‘처리완료’ 단계까지 되어야 실업급여 신청 가능합니다!
5. 회사가 제출 안 하면 어떻게 하나요?
📍 이직확인서 미제출은 명백히 사업주 의무 위반입니다.
💡 이런 경우 이렇게 하세요:
- 고용노동부 고객센터 1350에 전화
- 고용노동부 민원마당 온라인 접수
✅ 사업주에게 최대 과태료 부과 가능성도 있습니다.
결론: 이직확인서 없으면 실업급여도 없다!
- ✅ 실업급여 신청 전, 이직확인서 요청은 근로자가 먼저
- ✅ 고용24 또는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요청 가능
- ✅ 제출 여부·처리현황은 온라인 실시간 조회 가능
- ✅ 미제출 시 고용센터 민원 접수로 대응 가능
퇴사 후 실업급여 타려면, 이직확인서부터 반드시 챙기세요!
반응형